空手來 空手去 是人生
공수래 공수거 시인생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가는 인생
----------------------------------------------------------
生從何處來
생종하처래 나는 어디서 와서
----------------------------------------------------------
死向何處去
사향하처거 어디로 가는가
----------------------------------------------------------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구름처럼 태어났다가
----------------------------------------------------------
死也一片 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구름처럼 사라지는게 인생이다.
----------------------------------------------------------
浮雲自體 無本實
부운자체무본실 구름자체가 실체가 없듯이
----------------------------------------------------------
生死去來 亦如然
생사거래역여연 나고 죽고 가고 오는 것이 이와같으나
------------------------------------------------------------
獨有一物尙獨露
독유일물상독로 한가지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
湛然不隨於生死
잠연불수어생사 우리의 밝은 자아만이 이것을 따르지 않는구나
----------------------------------------------------------------
위의 시는 지은이가 不明인 불교 시로서
너무나 유명한 시입니다.
‘생야일편부운기’ 이 말은 누구나
한번 쯤은 들어본 구절입니다.
==================
‘공수래공수거 시인생
………………….
생야일편 부운기
사야일편부운멸
……………………..
독유일물상독로(獨有一物尙獨露)
잠연불수어생사
===========
이 시의 내용중 ‘독유일물상독로’ 이 구절의 의미를
우연히 김태희저 수학논리 그 무한한 힘’이라는 책에서
힌트를 얻어 그간 이해하기 힘들었던 점을
일부나마 이해 하게 되었습니다.
수학 집합이론 중 ‘존재정리’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전공자라도 잘 모르는 부분이니 그냥 넘어 가세요.
집합 X가 있어서 X에서 X로 정의되는 함수 f들의 족을
Ω 이라하자 .
즉 Ω={f:X->X} 이다. 그러면 모든 f∈Ω에 대하여
f(x)=x가 되는 한 점 x∈Ω가 존재하는가?
물론 존재합니다.
여기서부터 읽으세요.
f(x)=x 이렇게 표시되는 형식을 항등함수라고
부릅니다. 항등함수란 쉽게 말해 철수가 어떤 교통
편을 이용하던 즉 버스를 타든 택시를 타든 전철을
타든 내리는 이는 바로 철수 자신입니다.
독유일물상독로(獨有一物尙獨露)의 말뜻
그대로 하면
‘어떤 한가지 변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즉 세세생생 한 인간이 윤회를 거듭하여
태어나고 죽는다해도 한가지 변하지 않고
한 인간을 따라다니는 것은 바로 인간의
본성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본성이란 인간이 가진 가장 순수한 마음의
상태를 말합니다. 즉 진리를 찾는다 혹은 도를 닦는다.
하는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은 진정한 자기의 순수한
마음을 찾는 과정을 말한다고 봅니다.
첨언하면 본질적이고 참된 존재는 영원히 불멸하는 것이고
사람은 그 목적(순수한 마음찾기)을 실현하기 위해 생사를 반복한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군요.
이러한 목적을 이룬 상태를 열반이라고하고
열반한 사람의 행동거지를 여여하다(걸림이 없다)라고
하는 것이겠지요…
'관리자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묘년을 검은 토끼의 해라 불리는 이유 (1) | 2023.01.04 |
---|---|
일체유심조 (0) | 2018.08.12 |
계획된 일과의 중요함 (0) | 2018.06.21 |
금강경의 핵심 ,무아법 (0) | 2018.06.21 |
그리고 그 다음에는 (아데식위도다) (0) | 201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