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나간 사람이 언제 들어 올까?

가족이나 동거인이 외출한 시간을 알면 들어오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지금 이야기 하는 내용은 완전히 집을 나갔거나 행방불명 된 사람은 제외하고

같이 기거하는 사람이 하루 내에 들어오는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집을 나간 날의 일진(특정한 날에 부여되는 육십갑자)과 시간을 알아야 한다.

2018 817일은 달력을 보면  신사(辛巳)일이라 표시되어 있다.

하루의 일진이란 달력에 신사(辛巳)’라고 적혀있는 두 글자를 말한다.

그리고 나간 사람이 오전 12시경(午오)시에 나갔다고 하자

그러면 들어오는 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그 날의 일진과 나간 시간의 시진을

알아야 한다. (시진은 하루의 시간을 12등분하여 표시한 시간, ,,,….,).

앞으로 강의하는 내용에서 오행(五行)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줄이겠지만

기문둔갑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알아야 할 내용은 쉽게  풀어나가겠다.

신사(辛巳)를 일진이라고 말했는데 한번 더 살펴보자.

앞의 을 일간(日干)이라고 말하고 뒤의 를 일지(日支)라고 말한다.

 

일간을 구성하는 단위로 10개의 천간(天干)이 있는데

(),(),(),(),(),(),(),(),(),()

이렇게 10가지 이다.

.

일지를 구성하는 단위로는  12()가 있는데 ,우리가 많이 들어서 익숙한 말들이다.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점을 치는 사람들이  ,,,….하면서 손가락을 접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12지는 

(),(),(),(),(),(),(),(),(),(),(),()

이렇게 12가지가 있다.

우리가 따지는 띠도 이 12지의 순서대로 나온 말들이다.

처음부터, ,,,토끼,,,,,원숭이,,,돼지와 자,,…. 순으로 하나씩 대응이 된다.

12지지는 이렇게 띠로 나타내기도 하지만 아래와 같이 시간과 월로도 표시를 한다.

동양의 시간은 2시간(1시진) 단위로 표시하는데 위에서 밝힌데로 시간이라 하지 않고 시진이라 한다.

1시진=2시간

12

11

12

1

2

3

4

5

6

7

8

9

10

시간

시진

23:00

부터

01:00

01:00

부터

03:00

03:00

부터

05:00

05:00

부터

07:00

07:00

부터

09:00

09:00

부터

11:00

11:00

부터

13:00

13:00

부터

15:00

15:00

부터

17:00

17:00

부터

19:00

19:00

부터

21:00

21:00

부터

23:00

토끼

원숭

돼지

 

 

 

 

여기에서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하나씩 조합하면 모두 60개의 조합이 생기게 된다.

10천간

12


천간의 갑과 12지의 자-à갑자

천갑의 을과 12지의 축-à을축

천간의 정과 12지의 인-à병인

-----------

------------

천간의 계와 12지의 해-à계유

 

천간은 10개이고 12지는 12개 이므로 유까지 짝짓고 나면 나머지 , 해 두개가 남는다.

갑부터 계까지 천간은 한바퀴돌았으므로 다시  갑부터 시작하여 12지에 남아있는 술부터 짝을 지운다.

갑술,을해,병자,정축…… 이렇게 조합을 이룬다.

이 작업을 완성한 것이 육십갑자라 부르며 아래 표이다.



천간10개와 12 12개를 짝을 짓다 보면 항상 12지에서 2개씩 남게된다.

제일 윗줄을 보면 갑,,,,… 계와 자,,,..해 이렇게 짝을 짓다보면

12개중 가장 마지막 2개 술,해는 짝을 짓지 못하고 다음 순서로 넘어간다.

이렇게 짝을 못짓고 ,다음 차례에 짝을 짓는 2개의 12지를 공망(空亡)이라고 한다.

위의 육십갑자 표를 보면

좌편 위에서 아래로 갑자,갑술,갑신,갑오,갑진,갑인을 선두로 10개의 항목씩

정열되어있다. 이 줄을 갑자순,갑술순,갑신순,갑진순,갑인순이라 한다.

갑자순에는 술,해가 공망이고, 갑술순에는 신,유가 공망

갑신순에는 오,미가 공망,      갑오순에는 진,사가 공망

갑진순에는  ,묘가 공망      갑인순에는 자,축이 공망

공망은 나중에 다시 설명하는데 잘 기억해야 겠다.

이 표는 앞으로 많이 사용되니 유념(암기하라는 말이 아니고 ..)해 두기 바란다.

자 그럼 골치아픈 원론 이야기는 그만 하고 처음에 계획 한대로 집 나간 사람 들어오는

시간을 알아보자.

 

817  오전 12시에 나갔으면 이 날은 신사(辛巳)일 이고 시간은 위의 표를

보면 오시가 되겠다(11:00부터 13:00 사이)

**신사(辛巳)에서 신은 일간, 사는 일지

**나간 사람의 들어오는 시간을 알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일지와 시간이다.

당일의 일지는 사()이고 시간은 오()시 이다.

나간 시간을 위에 적고 일지를 밑에 적는다.

그리고 당일의 일지를 시간오() 아래에 적어서 12지의 순서대로 나열해 본다.

나간시간

일지

나간 시간 오밑에 일지 사를 적는다.

사를 기준으로 12지의 순서대로 적어나간다.  :

항상 나간 시간 진밑에 있는 12지가 들어오는 시간이 된다

표를 보면 진밑에는 묘자가 보인다. 묘시는 5시부터 7시 사이이다.

817 12시에 가족 중에 누가 집을 나갔다면 다음날 5시에서 7

사이에 귀가한다는 괘가 나온다.

진 아래 시간을 택하는 이유는 공식(公式)으로 알고 있으면 되겠다.

이유는 이 법칙을 만든 신이 정했으니 따를 뿐

하여튼 신통하게 잘 맞으니 한번 시도해 보기 바란다.

오늘 공부한 내용은 두고두고 사용되니(적어도 학에 한해서…)

꼭 이해하면 좋겠다.

특정한 해의 년.,일의 연주(연간,연지),월주(월간,월지),일주(일간,일지)

달력을 보지 않고 계산으로 찾아내는 법을 수학개념방에 올려 두었으니

관심 있는 분은 참고하기 바랍니다.

(수학에 멍드신 분들은 사양합니다)

 


'기문둔갑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문둔갑9강  (2) 2018.09.02
기문둔갑8강  (0) 2018.08.26
기문둔갑6강  (0) 2018.08.11
기문둔갑5강(각종 시험 합격하기)  (0) 2018.08.04
기문둔갑 4강  (1) 2018.07.26
Posted by 단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