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문둔갑 11


내기,토론등 상대방에게 이기는 방향


투전을 하거나 실력이 엇비슷한 사람들 끼리 내기 게임을 하여 승리를 원할 때는 본인이 위치한 자리를 잘 선택하는 것이 하나의 요령이다.

 게임에서 이기거나 투전판에서 돈을 건졌다(전문적 타짜들은 제외)는 사실은 그 날 운이 좋았다는 거다.

운이 좋았다는 것은 그 날 자기가 활동한 위치가 좋았다는 거다. 그러면  이러한 좋은 위치를 먼저 알 수는 없을까

 이 위치를 먼저 알아 본다는 것은 운을 계획하는 작업이다.

운은 확률의 문제가 아니라 실력의 문제다. 실력이란 어떤 일에 대비하여 준비를

철저히 하는 능력이다. 실력이 있으면 성공 할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다.

행운이란 기회를 놓치지 않는 감각이며 그것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흔히 실력이 비슷한 사람끼리 바둑이나 장기등 기타 게임 그리고 명절날,혹은 친목 회원들 끼리 고스톱이나 카드등 게임을 즐긴다. 사람들 마음은 다 같다.. 이기면 좋고 지면 기분이 상한다. 이것이 인지 상정이다.


게임에 이기는 자리를 잡는 방법을 알아보자

10강에서 진하(震下)지지를 사용하여 돈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 시간을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게임을 할 때 이길 수 있는 방향을 잡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내기나 투전을 할때는 위의 방법처럼 아래 글자를 보지않고 아래 글자를 본다.

이렇게 보는 작업을 자하(子下)지지라고 한다.

 

 월장표

 

2

3

4

5

6

7

8

9

10

11

12

1

기간

2/19

3/20

3/21

4/19

4/20

5/20

5/21

6/20

6/21

7/22

7/23

8/22

8/23

9/22

9/23

10/22

10/23

11/21

11/22

12/21

12/22

1/19

1/20

2/3

월장

 

    12 시진표

23:00

부터

01:00

01:00

부터

03:00

03:00

부터

05:00

05:00

부터

07:00

07:00

부터

09:00

09:00

부터

11:00

11:00

부터

13:00

13:00

부터

15:00

15:00

부터

17:00

17:00

부터

19:00

19:00

부터

21:00

21:00

부터

23:00

 

위에 제시된 월장표와 12 시진표를 보고 내기에 좋은 방향을 찾아보도록 하자.

916(오늘) 오후8시에 모임에서 고스톱을 친다고 하자. 거기서 본전이라도 하려면 어느 쪽에 앉아야 할까?

916일은 월장표에 보니 월장이 이다  

그리고 게임하는 시간이 오후 8시 이니 여기서 30분을 빼면 730분이다. 오후 730분 이면 1930분으로 위의 시진표를 보니 시에 해당된다.(30분을 빼는 이유는 10강에서 설명하였음)

전번 시간에 한 방법과 같이 월장 아래에 술을 놓고 순서대로 배열한다.

월장

시진

이렇게 한뒤 월장 아래의 글자를 보니 라고 되어있다.

이 말은 쪽의 방향을 등지고 앉으라는 계시다.

아래 그림을 보면 남동을 등지고 북서쪽을 보고 앉으라는 뜻이다.

이제  ,,,,,…….,,,12지지가 나타내는 방향을 표시하면 아래 표와 같다.

이 방법도 한 번씩 사용하는 것이지 게임을 할 때마다 사용하여 타인에게 해를 끼치면 결국 피해는 자기에게 돌아온다.  이것이 하늘의 이치다. 무엇이든지 넘치지 않게 행동,사고하는 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의 지혜라고 생각한다.

 

                     12 지지 방향




위의 경우에서                                          

12지지의 가 위치하는 방향은 남동쪽이다 즉 남동쪽을 등지고 북서쪽을 보고

게임을 하면 된다. 그리고 2시간 마다 시계방향으로  30도씩 자리를 옮겨야 한다.

(해의 위치가 2시간 마다 30도 씩 바뀌기 때문임)


**** 문의 : 카카오id: echo3110

 

24절기,양둔,음둔 ,팔장

기문둔갑으로 상황을 파악,예측 할 때에는 정확한 시간의 표시가 절대적이다.

‘24절기라는 말은 나이든 사람들은 익히 들어서 내용은 몰라도 그런 말이 있다는

정도는 알고 있다. 그러나 젊은 사람들은 ‘24절기라는 말이 생소하게 들리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그래도 24절기에 속하는 입춘’,’동지’,’하지같은 말은 한 두 번 정도는 들어 보았을 것이다.

우리 민족은 농경생활이 생활의 바탕이었다. 그래서 계절의 변화에 민감히 대응하기

위해 정확한 기후 정보를 예측, 운영하는 것은 생의 필수 조건이었다.

이런 필요한 이유로 24절기를 만들게 되었다.

24절기의 표를 한번 더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날짜는 양력기준이다.

해당월(절기)

절기명

해당 날짜.

1 월절(月節)

입춘

24일경

1 월중(月中)

우수

219일경

2 월절

경칩

36일경

2 월중

춘분

321일경

3 월절

청명

45일경

3 월중

곡우

420일경

4 월절

입하

56일경

4 월중

소만

521일경

5 월절

망종

66일경

5 월중

하지

621일경

6 월절

소서

77일경

6 월중

대서

723일경

7 월절

입추

88일경

7 월중

처서

823일경

8 월절

백로

98일경

8 월중

추분

923일경

9 월절

한로

108일경

9 월중

상강

1023일경

10 월절

입동

117일경

10 월중

소설

1122일경

11 월절

대설

127일경

11 월중

동지

1222일경

12 월절

소한

15일경

12 월중

대한

120일경

분명히 알아야 할 내용은 절기의 새로운 해는 입춘이 지나야 새해로

보는 것이다. 음력의 1,양력의 1월과는 해 바뀜의 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두자.


기문에서는 동지부터 하지 전 까지를 양둔(陽遁)이라 하고 ,하지부터 동지 전 까지를 음둔(陰遁)이라고 한다.


1절기는 15일로 되어있고 그 15일을 3으로 나누어 첫 5일을 상원(上元), 가운데 5일을

중원(中元), 마지막 5일을 하원(下元)이라고 한다.

팔장(八將) 혹은 팔신(八神)

팔신은 인간생활의 길흉화복과 거사(擧事)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끼치는 신비한

능력을 가진 8가지의 신장(神將)을 말한다.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천시(天時),지리(地利),인화(人和)를 얻어야 하는데

기문둔갑에서 이를 운용하는 것이 구성,구궁,팔문이다.

그리고 앞에서 이야기한 육의 삼기와 위의 3가지 조합에서 이루어지는 여러가지 상황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도외 주는 도구가 바로 팔신이라 하겠다.

팔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구천(九天),구지(九地),현무(玄武),백호(白虎),육합(六合),등사(藤蛇),태음(太陰),직부(直符)

각각의 기능은 추후에 따로 설명하겠다.

 

 

 






















'기문둔갑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문둔갑13강  (1) 2018.09.29
기문둔갑 12강  (1) 2018.09.23
기문둔갑10강  (2) 2018.09.10
기문둔갑9강  (2) 2018.09.02
기문둔갑8강  (0) 2018.08.26
Posted by 단석산
,